책/모두의 네트워크 9

[모두의 네트워크]9. 무선 랜 이해하기

키워드 : 무선 랜, 액세스 포인트, IEEE802.11n, SSID, 채널, 전파 간섭 35. 무선 랜의 구조LESSON 35 정리- 무선 랜 통신에서는 랜 케이블이 필요 없다- 무선 랜 어댑터에는 USB 메모리 방식 어댑터와 컴퓨터 카드 방식 어댑터가 있다- 무선 공유기에는 무선 액세스 포인트 기능이 포함되어 있다- 무선 랜을 연결하는 방식에는 인프라스트럭처 방식과 애드혹 방식이 있다- 무선 랜은 IEEE802.11 규격을 준수하는 기기로 구성된다- IEEE802.11 : IEEE(미국 기술 표준화 단체)가 승인한 무선 규격- 무선 랜의 규격은 IEEE802.11ad/ac/n/a/g/b가 있다- 무선 액세스 포인트 : 무선 공유기 또는 무선 AP라고도 부름 1) 무선 랜이란?2) 인프라스트럭처 방식과..

[모두의 네트워크]8. 네트워크의 전체 흐름 살펴보기

웹 사이트에 방문했을 때 이루어지는 전체적인 데이터 처리 과정  키워드 : OSI 모델, 헤더, 트레일러, 라우팅, 스위치, 라우터 32. 랜 카드에서의 데이터 전달과 처리LESSON 32 정리- 웹에 접속할 때는 OSI 모델의 상위 계층부터 캡슐화가 이루어짐- 웹 서버에 요청을 보낼 때는 HTTP를 사용- 웹 서버에 있는 html 파일을 요청하는 경우에는 GET /index.html HTTP/1.1과 같은 HTTP 메시지를 보냄- 전송 계층에서는 TCP 헤더(세그먼트)가 추가됨- 네트워크 계층에서는 IP 헤더(IP 패킷)가 추가됨- 데이터 링크 계층에서는 이더넷 헤더와 트레일러(FCS)가 추가되며 이를 이더넷 프레임이라고 부름- 물리 계층에서는 데이터가 전기 신호로 변환되어 전송됨 1) 네트워크의 구성..

[모두의 네트워크]7. 응용 계층 : 애플리케이션에 데이터 전달하기

키워드 : WWW, HTTP, DNS 서버, SMTP, POP3 28. 응용 계층의 역할LESSON 28 정리- 클라이언트 : 서비스를 요청하는 측 / 서버 : 서비스를 제공하는측- 클라이언트에서 사용하는 애플리케이션과 서버에서 사용하는 서버 프로그램 간의 통신은 응용 계층의 프로토콜을 사용- 응용 계층의 주요 프로토콜 : HTTP, FTP, DNS, SMTP, POP3 등  29. 웹 서버의 구조 (웹사이트 접속)LESSON 29 정리- HTML : 하이퍼텍스트를 작성하는 마크업 언어 -> '태그'를 사용하여 문장 구조나 이미지 파일을 표시- HTML로 작성된 웹 페이지는 웹 브라우저로 볼 수 있다- 하이퍼텍스트로는 문장이나 이미지를 표시하거나 하이퍼링크를 사용할 수 있다- 일반적으로 웹 브라우저는 웹..

[모두의 네트워크]6. 전송 계층 : 신뢰할 수 있는 데이터 전송하기

키워드 :  23. 전송 계층의 역할LESSON 23 요약전송 계층 : 데이터를 제대로 전달하는 역할, 오류를 점검하는 기능전송 계층 : 전송된 데이터의 목적지가 어떤 애플리케이션인지 확인연결형 통신 : 신뢰할 수 있고 정확하게 데이터를 전송하는 통신 방식비연결형 통신 : 신뢰성을 보장하지 않지만 효율적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통신 방식  1) 전송 계층의 두 가지 역할전송 계층 : 목적지에 신뢰할 수 있는 데이터를 전달하기 위해 필요 오류를 점검하는 기능 전송된 데이터의 목적지가 어떤 애플리케이션인지 식별하는 기능  2) 연결형 통신과 비연결형 통신 신뢰성/정확성효율성TCPUDP 24. TCP의 구조TCP 프로토콜 : 전송계층에서 신뢰할 수 있는 정확한 통신을 제공LESSON 24 요약전송 계층에서는 T..

[모두의 네트워크]5. 네트워크 계층 : 목적지에 데이터 전달하기

네트워크 계층 : 서로 다른 네트워크에 있는 목적지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필요  키워드 : IP, IP 주소, 네트워크 ID, 서브넷, 라우터 17. 네트워크 계층의 역할LESSON 17 요약- 서로 다른 네트워크 간에 통신을 하려면 라우터가 필요- 랜 안에서는 MAC 주소만으로도 통신할 수 있지만 네트워크 간에 통신을 하려면 IP 주소가 필요- 라우팅 : 경로를 선택하고 목적지 IP 주소까지 어떻게 데이터를 전달할지 결정하는 것- 라우터의 라우팅 테이블에는 경로 정보가 등록되어 있다- 네트워크 계층의 대표적인 프로토콜 : IP- 네트워크 계층에서는 캡슐화할 때 IP 헤더를 추가 1) 네트워크 간의 연결 구조 2) IP란?  18. IP 주소의 구조 : IP 주소란?LESSON 18 요약- 데이터를 ..

[모두의 네트워크]4. 데이터 링크 계층 : 랜에서 데이터 전송하기

데이터 링크 계층 (OSI 모델 2계층) : 랜에서 데이터를 주고받기 위해 필요 키워드 : 데이터 링크 계층, 이더넷, 충돌, MAC 주소, 스위치, 전이중 통신 방식  12. 데이터 링크 계층의 역할과 이더넷 Lesson 12 정리- 이더넷 : 랜에서 데이터를 정상으로 주고받기 위한 규칙- 이더넷 : 데이터 충돌을 막기 위한 규칙으로 CSMA/CD 방식을 사용- CSMA/CD에서 CS는 데이터를 보내려고 하는 컴퓨터가 케이블에 신호가 흐르고 있는지 확인하는 규칙, MA는 케이블에 데이터가 흐르고 있지 않으면 데이터를 보내도 된다는 규칙. CD는 충돌이 발생하고 있는지 확인하는 규칙 1) 이더넷이란?* 데이터 링크 계층 : 네트워크 장비 간에 신호를 주고받는 규칙을 정하는 계층 -> 랜에서 데이터를 정상..

[모두의 네트워크]3. 물리 계층 : 데이터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기

데이터는 "전기 신호"로 변환되어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 키워드 : 물리 계층, 전기 신호, 디지털 신호, 랜 카드, 케이블, 허브  09. 물리 계층의 역할과 랜 카드의 구조Lesson 9 정리- 전기 신호 : 아날로그 신호 / 디지털 신호- 아날로그 신호 : 전화 회선이나 라디오 방송에 사용되는 신호- 네트워크를 통해 상대방에게 데이터를 전송할 때 0과 1의 비트열은 전기 신호로 변환되어 전송된다. 상대방이 받은 전기 신호는 다시 0과 1의 비트열로 복원된다.  1) 전기 신호란? 네트워크 통신 - 0과 1만 사용됨->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주고받을 때는 0과 1의 비트열을 전기 신호로 변환해야 함 ( = 데이터는 전기 신호로 변환되어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됨) 물리 계층 : 데이터(0과 1만으로 이..

[모두의 네트워크]2. 네트워크의 기본 규칙

6. 네트워크의 규칙7. OSI 모델과 TCP/IP 모델8. 캡슐화와 역캡슐화 2장 키워드 : 프로토콜, OSI 모델, TCP/IP 모델, 캡슐화, 역캡슐화, 헤더  06. 네트워크의 규칙1) 프로토콜이란? - 프로토콜 : 네트워크에서 문제없이 통신하려면 지켜야하는 규칙(약속)특징 : 여러 규칙은 서로 영향을 주지 않음 Lesson 6 정리- 프로토콜 : 통신하기 위한 규칙- 불어를 못하는 한국인과 한국어를 못하는 프랑스인이라면, 영어로 대화한다는 규칙을 정해서 대화할 수 있다.- 편지를 배송하기 위해서는 편지를 쓸 때부터 상대방에게 도착할 때까지 지켜야 하는 독립적인 여러 규칙을 거쳐야 한다.  07. OSI 모델과 TCP/IP 모델네트워크에는 데이터를 주고받기 위한 통신 규격이 정해져 있음  1) O..

[모두의 네트워크]1. 네트워크 첫걸음

0. 네트워크 입문 강의 개강!1. 네트워크의 구조2. 정보의 양을 나타내는 단위3. 랜과 왠4. 가정에서 하는 랜 구성5. 회사에서 하는 랜 구성  키워드 : 네트워크, 패킷, 비트/바이트, 랜, 왠, 서버 00. 네트워크 입문 강의 개강! 01. 네트워크의 구조1) 컴퓨터 네트워크란? - 네트워크 : 다양한 곳에서 일반적으로 쓰이는 말 (임의의 연결망) cf. 사람과 사람의 네트워크, 도로와 철도의 네트워크, 물류 네트워크 ...  - 컴퓨터 네트워크 : 두 대 이상 연결되어 있으면 컴퓨터 네트워크가 되고, 컴퓨터 간에 필요한 데이터(정보)를 서로 주고받을 수 있음 - 네트워크를 사용해 할 수 있는 일(= 컴퓨터가 여러 대 연결되면 할 수 있는 일) : 컴퓨터 간의 데이터(파일) 전송, 웹 사이트 열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