공부/Git, GitHub

[모두의 깃&깃허브]6. 명령어로 버전 관리하기 1

개발의 피 2024. 6. 2. 17:38
1. 깃 명령어를 알아야 하는 이유
2. 버전 만들기
3. 태그 관리하기 

 

<명령어 정리>

git init 로컬 저장소 만들기
git status  작업 디렉터리 상태 확인하기
git add git add <스테이지에 추가할 대상> <스테이지에 추가할 대상>을 스테이지에 올리기
git add . 모든 변경 사항을 스테이지에 올리기
git commit  git commit  자세한 커밋 메시지와 함께 커밋
git commit --message "<커밋 메시지>"
git commit  -m "<커밋 메시지>"
<커밋 메시지>로 커밋
git log git log 커밋 목록 조회
git log --oneline 커밋 목록 한 줄로 조회
git log --patch
git log -p
커밋별 변경 사항 목록 조회
git log --graph 커밋 목록을 그래프로 조회
git log --branches 모든 브랜치의 커밋 목록 조회
git tag git tag <태그>  <태그> 추가 
git tag <태그> <커밋> <커밋>에 <태그> 추가
git tag
git tag --list
git tag -l
태그 목록 조회
git tag --delete <태그>
git tag -d <태그>
<태그> 삭제

 

git commit : 커밋하기

git log : 커밋 조회하기

git tag : 태그 추가/조회/삭제하기 

 

-> 안 써본 명령어 : git tag 

 

 

1. 깃 명령어를 알아야 하는 이유

소스트리보다 깃 명령어를 사용하는 것이 훨씬 더 빠르고 편리하기 때문

깃 명령어를 한번 손에 익혀두면, 명령어 한두 줄로 간단하게 버전을 다룰 수 있음 > 버전 관리할 때마다 일일이 소스트리에서 마우스로 버튼 클릭 : 훨씬 빠르고 간편 

 

명령어 : 수험생처럼 머리에 띠를 두르고 암기하는 것 x

명령어의 의미를 한번 이해하고 반복해서 사용하다 보면 자연스럽게 체화 가능 (머리가 아닌 손이 먼저 반응하게 될 것) 

 

2. 버전 만들기

1) git init : 로컬 저장소 만들기

git status : 작업 디렉터리 상태 확인하기

git add : 스테이지에 올리기

git commit : 커밋하기

git log : 커밋 조회하기

 

3. 태그 관리하기 

1) git tag <태그> : 태그 추가하기

2) git tag --list : 태그 조회하기

3) git tag --delete <태그> : 태그 삭제하기